공익직불금이란?
공익직불금은 농업과 농촌이 지닌 공익적 기능을 유지·증진하고, 농업인의 소득을 안정시키기 위해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 2025년에는 직불금 단가가 평균 5% 인상되어, 농지의 위치와 유형에 따라 136만 원부터 최대 215만 원까지 지급됩니다. 올해 변경된 신청 방법, 대상 요건, 지급 일정 등을 꼭 확인하시고 빠짐없이 신청하세요.2025년 공익직불금 지원 대상
공익직불금은 실질적으로 경작하는 농업인 및 농업법인 중 다음 요건을 충족해야
지원받을 수 있습니다.
1. 농업경영체 등록자
2. 실경작 확인이 가능한
농업인
3. 농업 외 종합소득 3,700만 원 미만
※ 경작면적 1,000㎡ 미만이거나 농업 외 소득이 기준을 초과한 경우 지원 대상에서 제외됩니다.
지급 대상 농지 및 농업인
과거 쌀, 밭, 조건불리 직불금 지급 대상 농지
농업에 이용되고 있는 실제
경작지
2016년 이후 직불금 수령자
후계농업인, 전업농업인 등 정책 대상자
신규
신청자, 농지 승계 대상자
2025년 지급 금액
구분 |
농업진흥지역 논 |
비진흥지역 논 |
비진흥지역 밭 |
---|---|---|---|
2ha 이하 |
215만 원 |
187만 원 |
150만 원 |
2~6ha 이하 |
207만 원 |
179만 원 |
143만 원 |
6ha 초과 |
198만 원 |
170만 원 |
136만 원 |
※ 면적과 위치에 따라 지급 단가가 달라집니다.
소농직불금 조건
소농직불금은 다음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농가에 연 130만 원을 정액 지급합니다.
농지 면적 0.1ha 이상 0.5ha 이하
소유 농지 총 1.55ha 미만
영농 종사
기간 3년 이상
농촌 거주 기간 3년 이상
농업 외 종합소득 2,000만 원
미만
가족 합산 농업 외 소득 4,500만 원 미만
축산 소득 5,600만 원
미만
시설재배 소득 3,800만 원 미만
2025년 공익직불금 신청 기간 및 방법
방문 신청 기간 2025년 3월 3일 ~ 4월 30일
신청 방법
1. 가장 넓은 농지가 소재한 읍·면·동 행정복지센터
방문
2. 농업경영체 등록증, 신분증, 신청서, 경작 증빙서류 제출
3.
담당자 확인 후 신청 완료
※ 기존 등록정보에 변동이 없는 농업인도 재신청이 필요합니다.
지급 일정
지급 시기 2025년 11월 ~ 12월지급 방법 신청자 본인 명의 계좌로 입금
※ 대상 확정 및 검증을 거쳐 지급되며, 부정수급 시 전액 환수됩니다.
공익직불제 통합콜센터: 1334
궁금한 사항은 가까운 행정복지센터나
콜센터로 문의하세요.